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유다서(103)


18.5. 여기서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노아의 홍수 심판 전에 비가 내렸을까요? 하나님께서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날에 하나님이 땅에 비를 내리지 아니하셨습니다(창 2:4-5). 안개만 땅에서 올라와 온 지면을 적셨지요(창 2:6). 그리고 홍수 심판의 창세기 6장까지 ‘비’라는 낱말은 보이지 않습니다. 만약에 말입니다, 비가 오지 않았다면, 노아를 비롯한 그 당시 사람들은 비라는 것을 몰랐을 겁니다. 그것이 그렇게 중요하냐고 하셔도 어쩔 수 없습니다. 제게는 중요하다기보다는 궁금증이 더 큽니다. 만약 비가 내리지 않았다면, 다음과 같은 대화가 가능하지 않았을까요?

The Deluge, by John Martin, 1834. Oil on canvas. Yale University

“이보게, 노아, 도대체 뭘 하는거야? 하루이틀도 아니고, 벌써 몇 년째 뭘 만드는거야? 시간이 그렇게 흘렀는데 자네가 뭘 만드는지 아직도 모르겠군. ”
“어이, 왔는가? 여호와께서 이 땅의 패역함을 보시고 심판하시겠다는군. 비를 내려서 홍수로 이 땅을 쓸어버리겠다고 하셨어.”
“뭐? 패역? 심판? 비? 도대체 무슨 소리를 하는거야? 그래 좋아. 우리가 좀 나쁘게 행동한 것은 인정하네. 아니지, 말이야 바른 말이지, 우리가 뭘 잘못했다고 그러나? 그리고 자네 식솔들에겐 해를 끼치지 않았어. 그런데 무슨 심판? 그리고 뭐? 비? 그게 뭐야? 처음 듣는 말이군. 자네는 어디서 그런 말을 들었나?”
“나도 잘 몰라. 여호와께서 홍수를 땅에 일으켜 땅에 있는 것들을 다 죽이겠다고 하셨을 뿐이야. 이 땅위의 저 하늘을 보게. 궁창의 물이 보이지? 그 물이 쏟아져 내리는 것이 비가 아닐까 짐작하기만 할 뿐, 나도 자세한 것은 모르네. 그리고 나는 그분의 명령대로 이렇게 배를 만들고 있을 뿐이야. 이보게, 자네도 여호와의 말씀을 듣고 포악한 행동을 그만 하게.”
“에이, 이 사람아. 저 위의 물이 쏟아진다고? 그렇다 하더라도 얼마나 되겠어? 저기 높은 산으로 피하면 되겠지. 자네 어지간히도 할 일이 없는 모양이군. 이보게, 오늘 밤에 윗동네를 우리가 쓸어버리려고 계획을 세웠다네. 며칠 전에 그 놈들이 우리 마을을 약탈하지 않았나? 복수하고 본때를 보여줘야지. 자네도 같이 가세. 우리가 뭐 남인가?”
“이보게,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니깐. 이제 얼마 남지 않았네. 그분의 말씀을 듣고 나쁜 행실을 그치게. 혹시 아는가? 그분이 자네와 자네 식솔들을 이 방주에 태워주실지도 모르지. 이 배에는 자리가 넉넉하다네.”
“예끼, 이 사람아. 비가 온다는 약속이 도대체 뭔가? 그리고 자네가 말하는 그 비를 기다리던 우리 조상들도 다 죽었고, 자네가 말하는 여호와가 창조한 이래로 모든 것이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지 않은가? 나는 자네의 여호와가 창조했다는 것도 믿을 수 없지만 말이네. 아무리 봐도 자네는 제 정신이 아니야.”
“그러지 말고 내 말을 들어.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니깐.”
“이보게, 노아, 정신차리게. 자네는 그나마 괜찮은 사람이라고 여겼는데, 이렇게 정신이 나가다니, 쯔쯔쯧. 이걸 어떻게 하나? 하루이틀도 아니고 말이야.”

상상력이 부족해서 대본을 쓰기가 어렵군요. 그래도 염치불구하고 하나 더 씁니다.

The art Bible (1896)

“이보게, 노아, 도대체 뭘 하는거야? 하루이틀도 아니고, 벌써 몇 년째 뭘 만드는거야? 시간이 그렇게 흘렀는데 자네가 뭘 만드는지 아직도 모르겠군. ”
“어이, 왔는가? 여호와께서 이 땅의 패역함을 보시고 심판하시겠다는군. 불을 내려서 이 땅을 다 태우겠다고 하셨어.”
“뭐? 패역? 심판? 불? 도대체 무슨 소리를 하는거야? 그래 좋아. 우리가 좀 나쁘게 행동한 것은 인정하네. 아니지, 말이야 바른 말이지, 우리가 뭘 잘못했다고 그러나? 그리고 자네 식솔들에겐 해를 끼치지 않았어. 그런데 무슨 심판? 그리고 뭐? 불? 자네, 제 정신이 아니군. 불을 내린다고? 아니, 이 사람아, 불이라는 건 타오르는 거야. 내려오는 불도 있나?” 
“나도 잘 몰라. 하나님께서 불을 땅에 내려서 땅에 있는 것들을 다 죽이겠다고 하셨을 뿐이야. 소돔과 고모라처럼 말이지. 나도 짐작하기만 할 뿐, 나도 자세한 것은 모르네. 그리고 나는 그분의 명령대로 이렇게 이걸 만들고 있다네. 나도 어떤 물건이 될지 몰라. 그날 그날 만들 것을 지시하시니 말이야. 그건 그렇고, 이보게, 자네도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포악한 행동을 그만 하게.”
“에이, 이 사람아. 불이 내려온다니 그게 말이나 되는 소린가? 소돔과 고모라? 다 전설에 불과해. 신화란 말일세. 사실이 아니야. 그래,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얼마나 되겠어? 강물, 호수물, 바닷물로 끄면 되지. 자네 어지간히도 할 일이 없는 모양이군. 이보게, 오늘 밤에 아랫동네를 우리가 쓸어버리려고 계획을 세웠다네. 며칠 전에 그 놈들이 우리 마을을 약탈하지 않았나? 복수하고 본때를 보여줘야지. 자네도 같이 가세. 우리가 뭐 남인가?”
“이보게,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라니깐. 이제 얼마 남지 않았네. 그분의 말씀을 듣고 나쁜 행실을 그치게. 혹시 아는가? 그분이 자네와 자네 식솔들을 이 피난처에 보호해 주실지도 모르지. 모르긴 몰라도 이것은 규모가 큰 것 같아.”
“예끼, 이 사람아. 불이 내린다는 약속이 도대체 뭔가? 그리고 자네가 말하는 그 불을 다리던 우리 조상들도 다 죽었고, 자네가 말하는 하나님이 창조한 이래로 모든 것이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지 않은가? 나는 자네의 하나님이 창조했다는 것도 믿을 수 없지만 말이네. 아무리 봐도 자네는 제 정신이 아니야.”
“그러지 말고 내 말을 들어.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라니깐.”
“이보게, 노아, 정신차리게. 자네는 그나마 괜찮은 사람이라고 여겼는데, 이렇게 정신이 나가다니, 쯔쯔쯧. 이걸 어떻게 하나? 하루이틀도 아니고 말이야.”

그렇습니다.

사실 하늘과 땅은 지금도 하나님의 같은 말씀에 의해서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하늘과 땅은 하나님을 배반하는 자들이 멸망당할 심판의 날까지만 보존되었다가 불에 타버리고 말 것입니다. (벧후 3:7, 공동번역) 

조롱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외면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조롱하는 자의 눈이 골짜기의 까마귀에게 쪼이고 독수리 새끼에게 먹힙니다(잠 30:17). 주께서 다시 오시겠다고 분명히 말씀하셨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조롱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일부러 잊으려 합니다. 그들은 하나님을 멸시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다서(102)

18.4. 베드로 사도에 의하면 조롱하는 내용이 이렇습니다.  먼저 이것을 알지니, 말세에 조롱하는 자들이 와서 자기의 정욕을 따라 행하며 조롱하여 이르되, “주께서 강림하신다는 약속이 어디 있느냐? 조상들이 잔 후로부터 만물이 처음 창조될 때와 같이 그냥 있다.” 하니, 이는 하늘이 옛적부터 있는 것과 땅이 물에서 나와 물로 성립된 것도 하나님의 말씀으로 된 것을 그들이 일부러 잊으려 함이로다. 이로 말미암아 그 때에 세상은 물이 넘침으로 멸망하였으되, 이제 하늘과 땅은 그 동일한 말씀으로 불사르기 위하여 보호하신 바 되어, 경건하지 아니한 사람들의 심판과 멸망의 날까지 보존하여 두신 것이니라. (벧후 3:3-7) 역시 개역 개정판은 점잖게 옮겼습니다. "그리스도가 다시 온다는 약속은 어떻게 되었는가? 그 약속을 기다리던 선배들도 죽었고 모든 것이 창조 이래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지 않으냐?" (벧후 3:4, 공동번역)  오해하지 마십시오. 공동번역이 경박하다는 말이 아닙니다. 위 공동번역의 구절을 빈정대는 감정으로 다시 한 번 읽어 보시겠습니까?  우리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경위를 압니다. 엿새 동안의 창조에서 셋째 날의 창조 기록(창 1:9-13, 벧후 3:5)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노아(Noah)때의 홍수 심판 사건(창 6:5-8:14)을 압니다. 노아가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방주(方舟, ark)를 만드는 것을 생각해보세요. 방주의 히브리어 ‘테바’는 원래 ‘상자,’ ‘궤’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는 노아의 방주(창 6:14) 외에 모세가 나일 강물에 버려질 때 담겨진 ‘갈대 상자’를 뜻하기도 합니다(출 2:3, 5). 그리고 헬라어 ‘키보토스’는 ‘나무로 된 상자’(a wooden box), ‘궤’라는 뜻으로, 방주(마 24:38; 히 11:7; 벧전 3:20) 외에 언약궤(히 9:4; 계 11:19)를 일컫기도 합니다. 방주란, 노아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대홍수를 피...

유다서(101)

18.3.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은 후에도 모욕과 희롱은 계속됩니다. Crucifixion, from the Buhl Altarpiece, a particularly large Gothic oil on panel painting from the 1490s. 그들이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은 후에, 그 옷을 제비 뽑아 나누고 거기 앉아 지키더라. 그 머리 위에 “이는 유대인의 왕 예수라.” 쓴 죄패를 붙였더라. 이 때에 예수와 함께 강도 둘이 십자가에 못 박히니 하나는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있더라. 지나가는 자들은 자기 머리를 흔들며 예수를 모욕하여 이르되, “성전을 헐고 사흘에 짓는 자여,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어든 자기를 구원하고 십자가에서 내려오라.” 하며, 그와 같이 대제사장들도 서기관들과 장로들과 함께 희롱하여 이르되, “그가 남은 구원하였으되, 자기는 구원할 수 없도다. 그가 이스라엘의 왕이로다. 지금 십자가에서 내려올지어다. 그리하면 우리가 믿겠노라. 그가 하나님을 신뢰하니, 하나님이 원하시면 이제 그를 구원하실지라. 그의 말이, ‘나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하였도다.” 하며,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강도들도 이와 같이 욕하더라. (마 27:35-44) 모든 왕의 왕에게 조롱의 홍포를 입힙니다. 모든 왕의 왕에게 조롱의 가시관을 씌웁니다. 모든 왕의 왕에게 조롱의 갈대를 쥐게 합니다. 모든 왕의 왕에게 조롱의 인사를 합니다. 모든 왕의 왕에게 그 왕께서 하신 말씀을 그대로 되뇌이며(마 27:42-43) 희롱합니다.  나는 어떻습니까? 대놓고 조롱하지는 않을 겁니다. 그러나 선심쓰는 척하며 이웃에게 조롱의 옷과 가시관과 갈대을 주지는 않습니까? 더 교묘한 방법으로 조롱의 인사, 글자그대로 가시가 돋힌 인사를 하지 않습니까? 이웃이 평소에 한 말을 그대로 되뇌면서 조롱하지 않습니까? 가난한 이웃의 고통을 같이 느끼지는 못할 망정, 어설픈 나의 잣대로 조롱하지 않습니까? 가난한 이웃의 서러움을 공...

유다서(119)

3. 오직 은혜(Sola Gratia): 예수 그리스도의 공효를 덧입혀 주는 것은 전적인 하나님의 선물로서 하나님이 인간 쪽에 아무런 조건을 찾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 "믿음" 역시 하나님의 선물이며, "믿음"은 구원의 은혜를 받는 '통로' 역할을 할 뿐이며 그것의 '대가'로 구원을 받지는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몇 구절을 찾아봅니다. ‘은혜(헨, hen)’는 ‘호의를 베풀다,’ ‘불쌍히 여기다’는 뜻으로 하나님이 인간에게 보이시는 자비, 은혜, 사랑을 말합니다. 에서가 또 이르되, “내가 만난 바 이 모든 떼는 무슨 까닭이냐?” 야곱이 이르되, “내 주께 은혜를 입으려 함이니이다.” (창 33:8) 모세가 여호와께 아뢰되, “보시옵소서. 주께서 내게 ‘이 백성을 인도하여 올라가라.’ 하시면서 나와 함께 보낼 자를 내게 지시하지 아니하시나이다. 주께서 전에 말씀하시기를, ‘나는 이름으로도 너를 알고 너도 내 앞에 은총을 입었다.’ 하셨사온즉, 내가 참으로 주의 목전에 은총을 입었사오면, 원하건대 주의 길을 내게 보이사 내게 주를 알리시고, 나로 주의 목전에 은총을 입게 하시며, 이 족속을 주의 백성으로 여기소서.” (출 33:12). Hebrew letters spelling Chesed 또 ‘은혜(헤세드, chesed)’의 기본 의미는 ‘바라다,’ ‘사랑하다’로, 언약에 기초한 하나님의 은총이나 자비, 사랑, 긍휼을 말합니다. 그런즉 너는 나와 내 아들과 내 손자에게 거짓되이 행하지 아니하기를 이제 여기서 하나님을 가리켜 내게 맹세하라. 내가 네게 후대한 대로 너도 나와 네가 머무는 이 땅에 행할 것이니라. (창 21:23) 너희가 이 일을 하였으니, 이제 여호와께서 은혜와 진리로 너희에게 베푸시기를 원하고, 나도 이 선한 일을 너희에게 갚으리니, (삼하 2:6) 여호와여 나의 원수들로 말미암아 주의 의로 나를 인도하시고, 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