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유다서(34)


5.7. 원망과 불평의 반대는 감사일 것입니다. 라이프성경사전의 감사(感謝, thanks)에 대한 설명을 볼까요? 먼저 ‘감사’라는 용어의 원어를 살펴봅니다. 

‘하나님께 자복하다, 고백하다’라는 뜻으로 ‘야다’라는 낱말이 있다고 합니다. “내가 이르기를, ‘내 허물을 여호와께 자복하리라.’ 하고 주께 내 죄를 아뢰고 내 죄악을 숨기지 아니하였더니, 곧 주께서 내 죄악을 사하셨나이다.” (시 32:5)

예배를 드릴 때 부르는 감사찬양을 ‘토다’라고 한다고 합니다. “여호와여, 내가 무죄하므로 손을 씻고 주의 제단에 두루 다니며, 감사의 소리를 들려 주고 주의 기이한 모든 일을 말하리이다.” (시 26:7)

대개 사람 사이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감사한 마음’과 ‘진심을 담은 감사의 말’인 ‘유카리스티아’라는 낱말도 있군요. 대제사장 아나니아가 장로들과 변호사 더둘로와 함께 바울을 고발하면서 하는 말입니다. “벨릭스 각하여, 우리가 당신을 힘입어 태평을 누리고 또 이 민족이 당신의 선견으로 말미암아 여러 가지로 개선된 것을 우리가 어느 모양으로나 어느 곳에서나 크게 감사하나이다.” (행 24:3) 사도 바울이 에베소 성도들에게 보낸 편지에도 이 낱말이 있다고 합니다. “음행과 온갖 더러운 것과 탐욕은 너희 중에서 그 이름조차도 부르지 말라. 이는 성도에게 마땅한 바니라. 누추함과 어리석은 말이나 희롱의 말이 마땅치 아니하니, 오히려 감사하는 말을 하라.” (엡 5:3-4) 특히 여기서는 진심을 담은 감사의 말을 하라고 권면합니다. 

하나님의 은총, 또는 하나님께서 베풀어주신 은혜에 대한 감사를 나타내는 ‘카리스’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생각컨대 위에서 본 ‘유카리스티아’는 이 ‘카리스’와 ‘좋은’이라는 뜻의 ‘유’가 합쳐져 만들어진 낱말인 것 같습니다.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 너희가 본래 죄의 종이더니, 너희에게 전하여 준 바 교훈의 본을 마음으로 순종하여, 죄로부터 해방되어 의에게 종이 되었느니라.” (롬 6:17-18) 그렇습니다. 죄의 종(slaves to sin)에서 의의 종(slaves to righteousness)으로 신분이 바뀐 것은 분명히 그리고 당연히 ‘카리스’할 일입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승리를 주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노니, …” (고전 15:57) 우리는 승리를 쟁취할 수 없는 존재이지만, 우리에게 승리를 주시는 하나님께 ‘카리스’합니다. 그런데 승리를 주시는데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이 전제조건을 얼마나 자주 잊어버리는지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through our Lord Jesus Christ) 주십니다. 

이제 라이프성경사전의 설명을 봅니다. 고마움에 대한 감정을 나타내는 말이나 행위를 감사라고 합니다. 구약성경에서는 주로 일상 생활 가운데서 보호하시고 도우시는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시 106:1; 107:1; 118:1, 29; 136:1; 대상 16:4, 34, 41; 대하 7:3; 스 3:11; 렘 33:11). 그래서 감사의 제사를 드리고, 감사의 예물을 드리며, 감사 찬송을 불렀습니다. 우리는 시편을 통해 그 대표적 사례들을 많이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런 감사는 이스라엘의 전 역사의 중심 주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신실하신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과 맺은 약속을 한치 오차 없이 이행해주셨습니다(시 57:9; 100:4; 107:8; 118:19; 138:2). 따라서 여호와께서 약속하신 언약을 지키시며 사랑을 베푸시는 데 대한 이스라엘 백성의 응답이 곧 감사였던 것입니다. 결국 이스라엘이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는 하나님과 맺은 자신들의 계약을 성실하게 이행하겠다는 다짐이요, 표현이었던 것이지요. 왜냐하면 감사하는 마음에서만이 하나님의 말씀에 기꺼이 복종하고자 하는 올바르고 자발적인 자세가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신약에서의 감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행위에 대한 감사라는 점에서 구약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감사 기도를 통해 감사하는 자세와 감사의 모범을 보여 주셨습니다(마 11:25; 15:36; 26:27; 막 8:6; 14:23; 눅 10:21; 22:17; 요 6:11, 23; 11:41; 고전 11:24). 또한 믿음 생활에서 감사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여러 비유와 사례를 통해 가르쳐 주셨습니다(눅 17:16, 18). 그래서 심지어 사도 바울은 이방인들의 죄악을 지적하면서 구원의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지도 않고 감사치도 않는다고 경고하였습니다(롬 1:21).

이렇게 본다면 구원받은 성도의 제 일의 삶은 곧 하나님께 감사 드리는 삶입니다. 바울 역시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향해 “범사에 감사하라.”(살전 5:18)고 권면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 기자들은 그들 동료 기독교인들에게 하나님께 감사하는 자가 되라고 권고했습니다(엡 5:4; 골 3:15). 왜 이토록 감사 생활이 중요합니까? 왜냐하면 오직 감사가 나타나는 데에서만 참 신앙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롬 1:21). 말하자면 감사는 신앙을 향한 부름(call to faith)의 역할을 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 은혜에 대한 유일한 신앙적 응답이기 때문입니다(고전 15:57).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다서(102)

18.4. 베드로 사도에 의하면 조롱하는 내용이 이렇습니다.  먼저 이것을 알지니, 말세에 조롱하는 자들이 와서 자기의 정욕을 따라 행하며 조롱하여 이르되, “주께서 강림하신다는 약속이 어디 있느냐? 조상들이 잔 후로부터 만물이 처음 창조될 때와 같이 그냥 있다.” 하니, 이는 하늘이 옛적부터 있는 것과 땅이 물에서 나와 물로 성립된 것도 하나님의 말씀으로 된 것을 그들이 일부러 잊으려 함이로다. 이로 말미암아 그 때에 세상은 물이 넘침으로 멸망하였으되, 이제 하늘과 땅은 그 동일한 말씀으로 불사르기 위하여 보호하신 바 되어, 경건하지 아니한 사람들의 심판과 멸망의 날까지 보존하여 두신 것이니라. (벧후 3:3-7) 역시 개역 개정판은 점잖게 옮겼습니다. "그리스도가 다시 온다는 약속은 어떻게 되었는가? 그 약속을 기다리던 선배들도 죽었고 모든 것이 창조 이래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지 않으냐?" (벧후 3:4, 공동번역)  오해하지 마십시오. 공동번역이 경박하다는 말이 아닙니다. 위 공동번역의 구절을 빈정대는 감정으로 다시 한 번 읽어 보시겠습니까?  우리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경위를 압니다. 엿새 동안의 창조에서 셋째 날의 창조 기록(창 1:9-13, 벧후 3:5)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노아(Noah)때의 홍수 심판 사건(창 6:5-8:14)을 압니다. 노아가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방주(方舟, ark)를 만드는 것을 생각해보세요. 방주의 히브리어 ‘테바’는 원래 ‘상자,’ ‘궤’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는 노아의 방주(창 6:14) 외에 모세가 나일 강물에 버려질 때 담겨진 ‘갈대 상자’를 뜻하기도 합니다(출 2:3, 5). 그리고 헬라어 ‘키보토스’는 ‘나무로 된 상자’(a wooden box), ‘궤’라는 뜻으로, 방주(마 24:38; 히 11:7; 벧전 3:20) 외에 언약궤(히 9:4; 계 11:19)를 일컫기도 합니다. 방주란, 노아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대홍수를 피...

유다서(51)

8.2. … 육체를 더럽히며, ...  육체를 더럽힙니다(defile the flesh[KJV], pollute their own bodies[NIV]). 앞에서 보았지요?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과 관계를 맺어 육체를 더럽혔습니다. 소돔과 고모라의 거주민들이 다른 신을 따라가며 섬기고 절하면서 육체를 더럽혔습니다. 이단들의 뉴스를 들으면 가끔 그런 뉴스까지 들립니다. 연약한 여인들을 성적 노리개로 삼는 것 말입니다. 사회에서 보호받아야 할 가장 약한 자들 중의 하나인 여인들에게 몹쓸 짓을 하는 것 말입니다. 이단 뿐만 아니라 쥐꼬리만한 권력을 쥐고 있는 자들도 그런 파렴치한 행동을 서슴치 않고 합니다. 요즘 말로 갑질한다고 하죠. 약자들을 그냥 두어도 모자랄 판에 갑질합니다.  불의한 자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줄을 알지 못하느냐? 미혹을 받지 말라. 음행하는 자나, 우상 숭배하는 자나, 간음하는 자나, 탐색하는 자나, 남색하는 자나, 도적이나, 탐욕을 부리는 자나, 술 취하는 자나, 모욕하는 자나, 속여 빼앗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하리라. (고전 6:9-10) 사도 바울이 고린도교회의 이런저런 문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쓴 편지입니다. 앞뒤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좋겠지만, 최소한 이 구절에 의하면, 음행(sexual immorality), 우상 숭배(idolatry), 간음(adultery), 탐색(male prostitution), 남색(homesexual offend), 도적(thievery), 탐욕(greed), 술취함(drunkenness), 모욕(slander), 속여 빼앗음(사기, swindle) 등은 사악한 것들(불의, wickedness)입니다. 모두 육체를 더럽히는 데 앞장서는 것들입니다. 이런 불의를 저지르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합니다. 사도 바울은 거짓 선생들의 이러한 미혹을 받지 말라고 경고합니다.  위에서 빌 마이어스(...

유다서(23)

3.5. 모세와 불뱀… 요세푸스(Flavius Josephus)가 쓴 <유대고대사(The Antiquities of the Jews)>에 흥미로운 내용이 있습니다. 모세가 에디오피아인들과 싸운 경위의 일부분을 옮깁니다.  모세가 이집트의 왕궁에서 왕자로 있었을 때 에디오피아인들이 이집트를 침략해서 이집트인들의 재산을 약탈해 갔습니다. 이에 이집트인들은 모세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이집트의 서기관들은 모세의 용맹으로 적을 물리칠 수도 있고 그러다 보면 모세가 전사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기뻐했으나, 히브리인들의 서기관들은 장차 모세가 그들의 장군이 되면 이집트인들에게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고 기뻐했습니다. 모세는 적들이 그의 공격을 알아차리기 전에 군대를 거느리고 적들을 저지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수로가 아니라 육로로 행군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는 육로로 행군하면서 그의 지혜가 매우 뛰어남을 실증해 보여 주었습니다. 왜냐하면 뱀이 많았기 때문에 (이곳 뱀은 다른 지역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번식력이 뛰어나며 독성이 특히 강한 데다 보기에도 유달리 흉측해 보였습니다. 어떤 뱀은 눈에 띄지 않게 땅에 숨어 있다가 솟아 올라 공중을 날아 부지중에 사람을 덮쳐 해를 가하기도 했습니다). 육로로 통과하기가 어려운데, 모세는 군대가 해를 입지 않도록 무사하게 보호하는 멋진 계책을 창안해 냈기 때문입니다.  모세는 사초(sedge)로 방주 모양의 바구니를 만들고 그 속에 이베스(ibes)라는 새들을 담아 들고 갔습니다. 이 새는 뱀들에게는 최대의 천적인데, 이 새들이 접근하면 뱀들은 도망을 쳤습니다. 뱀들은 도망을 치다가 이베스에 의해 잡혀 먹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베스는 길들여진 동물이며 단지 뱀 종류에게만 해를 끼쳤습니다. 모세는 이런 뱀들이 서식하는 지역에 도착하자마자 이베스를 풀어 놓아 뱀들을 물리쳤고 군대가 그 지역을 통과할 때까지 이베스를 이용했습니다. 결국 모세는 이렇게 행군을 거듭해 에디오피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