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유다서(83)


14.2. 그래도 이왕 이야기가 나온 김에 성경의 정경화를 알아봅니다. 

‘정경(Canon)’이란 말은, ‘갈대(reed)’나 ‘막대기(rod)’를 뜻하는 히브리어 ‘카네’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말이 헬라어 ‘카논’으로 번역되었고, 영어로는 ‘캐논(Canon)’으로 표기되었습니다. ‘카네’란, 습지(물가)에서 자라는 갈대 식물로서, 그 줄기가 곧고 길기 때문에 고대 세계에서는 측량 ‘자(尺)’로 사용되었습니다. ‘카네’는 짧고 긴 것, 굽고 곧은 것을 구별하는 잣대가 되었고, 점차 어떤 사물을 측정하는 ‘표준(標準)’이나 ‘척도(尺度)’, 그중에서도 특히 진정성(authenticity)이나 허위성(spuriousness)을 판가름하는 ‘기준’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카네’가 성경에 적용되어 쓰일 때에는 그 의미가 ‘엄밀한 기준에 의하여 그 권위와 영감성을 교회가 공식 인정한 책들’ 또는 ‘기독교인의 신앙과 행위의 척도가 되는 책들’이란 뜻으로 구체화되었지요. 한편, ‘캐논’이란 말은 A.D. 350년경 알렉산드리아 감독 아타나시우스(Athanasius)에 의해 처음 성경에 적용된 이래, 제59차 라오디게아 종교회의(A.D. 373년)에서 정식으로 채택된 용어로서 A.D. 4세기경 기독교인들이 성경, 곧 정경의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사용한 말입니다.

구약성경이 정경으로 인정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준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① 영감성의 문제 - 하나님의 성령으로 말미암아 계시돤 말씀임을 저자 스스로 인정하고 있는가? 
② 내용상의 문제 - 하나님의 거룩한 뜻과 인간 구원의 진리를 담고 있는가? 
③ 보존성의 문제 - 하나님의 섭리에 의해 훼손되지 않고 보존되었는가? 그리고 
④ 인증성의 문제 - 신약시대 그리스도와 사도들에 의해 인증되고 인용되었는가?

신약성경이 정경으로 인정되는 데 적용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사도성의 문제 - 저자가 사도 혹은 사도적 수준에 있는 사람인가? 이 기준에 의해 마가복음, 누가복음, 사도행전, 히브리서 등이 정경으로 인정되었습니다. 
② 영감성의 문제 - 하나님의 영감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그 내용이 영적인 성격을 지녔는가? 이 기준에 의해 외경이나 위경이 정경에서 제외되었습니다. 
③ 보편성의 문제 - 교회나 교부들에 의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인정되고 있는가? 이 기준에 의해 수많은 위작(僞作)들이 제외되었습니다.

Complete set of scrolls, constituting the entire Tanakh(Torah, Nebiim, Ketubim).

정경의 형성화과정에서 구약 39권의 편집은 B.C. 5-4세기경 에스라 시대에 학사인 에스라와 대공회원들에 의해 완료된 것으로 봅니다. 그런데 정경으로 인정된 시기는 먼저 B.C. 400년경에 오경(율법서, Torah)이, 이어서 B.C. 300-200년경에 예언서(Nebiim)가, B.C. 160-105년에 성문서(Ketubim)가 인정되었습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정경화 작업이 완료된 것은, A.D. 90년 자카이(Johanan ben Zakkai)의 주도하에 소집된 얌니아(Jamnia) 종교회의에서 정경으로 확정됩니다. 물론 A.D. 3세기까지 구약 정경화 문제는 끊임없는 시비가 있었지만 그럼에도 결국 얌니아 회의의 결정이 존중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신약성경의 기록 시기는 A.D. 1세기경 거의 비슷한 때에 이뤄졌었습니다. 이단들이 난무하던 상황에서 정경화의 필요성이 시급했지만, 27권의 성경이 모두 정경으로 공식화되기까지는 무려 3세기의 세월이 소요되었습니다. 복음서들과 대부분의 바울 서신들은 쉽게 정경으로 인정되었으나, 몇몇 책들은 지역과 공의회에 따라 인정되기도 하고 제외되기도 했습니다. 소위 ‘논쟁의 책’(antilegomena)으로 취급되는 7의서(七疑書), 곧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후서, 요한2·3서, 유다서(우리가 지금 읽고 있습니다), 요한계시록 등을 제외하고는 2세기 말까지 신약의 다른 모든 책들이 정경으로 인정되었습니다. 그후 나머지 책들도 세 차례에 걸친(393, 395, 426년) 히포 종교회의와 397년의 카르타고 종교회의를 거쳐 27권의 신약성경이 공식화되었고, 16세기 종교개혁을 거치면서도 오늘날까지 그대로 정경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John Wycliffe at work in his study

내친 김에 성경의 장과 절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성경은 장(章, chapter)과 절(節, verse)로 구분되어 있지요. 하지만 성경이 처음부터 장과 절로 구분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히브리어로 된 구약성경과 헬라어로 된 신약성경은 원래 장과 절이 구분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여기에 장(章) 구분을 한 최초의 인물은 영국 캔터베리(Canterbury) 대주교인 스티븐 랭튼(Stephen Langton, 1150-1228년)이라고 하는군요. 이것을 영어성경에 최초로 적용시킨 사람은 영국의 종교개혁자 위클리프(Wycliffe)로서 ‘위클리프 영어성경’(John Wycliffe’s Version, 1382년)이 바로 그것입니다.

한편 절(節)을 최초로 구분한 인물은 프랑스 궁정인쇄사 스테파누스(Robert Stephanus)로, 그는 1551년 헬라어 신약성경에 처음으로 절을 구분하고 그것을 인쇄하였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적용시킨 최초의 영어 신약성경은 ‘제네바 성경’(Geneva Bible, 1500년)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장과 절을 구분하는 것은 성경본문을 인용하기에는 아주 편리하였지만 때론 인위적으로 끊거나, 문법 체제에 맞지 않게 잘못 끊어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폐단도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절 구분을 하지 않고 이전의 절 구분을 난외주로 처리한 성경이 나왔는데 곧 NEB(New English Bible, 1961-1970년)가 그것이라고 합니다. 이 번역본은 저에게 없습니다. 한글성경의 장과 절 구분은 전통적으로 영어성경의 장과 절 구분법을 따른 것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라이프성경사전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다서(10)

Miraculous catch of fish 1.5. 부르심을 받는다는 것, 누군가가 나를 불러준다는 것은 너무나도 기분 좋은 것입니다. 상상해 보십시오. 누군가가 따뜻한 음성으로 나의 이름을 부릅니다. 내가 고민하고 번민할 때, 어찌 할 바를 몰라 두 손 놓고 멍하니 있을 때, 무서워 발걸음을 뗄 수가 없을 때, 두려워서 무릎이 덜덜 떨릴 때, 간담이 다 녹아내릴 때, 번뇌로 내 가슴이 검은 숯덩이가 되어 정신이 아득할 때, 그 숯덩이가 다 타서 허연 재만 남았을 때, 이 세상에 나 홀로 남겨졌다고 생각될 때, 나같은 사람이 살아서 뭘 하겠느냐고 자포자기할 때, 그 어디를 바라보아도 구원의 손길은 다가오지 않을 때, 어디에 소망을 두어야 할 지 전혀 모를 때, 완전한 흑암 속에서 허우적거릴 때, 내 자신이 나의 존재를 부정할 때, 누군가가 나즈막한 소리로 나의 이름을 부릅니다. 그것도 다른 사람이 아닌 창조주, 가장 완벽하시고 온전하시고 완전하시며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직접 그 분의 존재 안에서 격려하시고, 등을 토닥거려 주시고, 얼싸안아 주신다는 것은 더할 나위없이 황홀한 일임에 분명합니다.  내가 하나님을 사랑하는 데 실패하고, 아니 하나님을 생각하지도 않지만, 더 나아가 하나님의 품을 떠나려고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결국 아버지를 떠난 둘째 아들(눅 15:11-32)처럼 실제로 떠나지만, 하나님께서는 나를 부르십니다. 나는 나의 존재를 부정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나의 존재를 인정하십니다. 매일 매순간 나는 하나님을 배반하고 떠나지만, 하나님께서는 나를 부르십니다. 왜 간섭하느냐고 원망 아닌 원망을 할 때도, 죄의 무게에 짓눌려서 “주여, 나를 떠나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눅 5:8).”라고 울먹거리며 말할 때도, 하나님은 나를 부르십니다. 나를 인정해 주십니다. 도저히 범접할 수 없는 그분께서 “괜찮다.”고 하시면서 나의 존재 자체를 인정해 주십니다. 좁은 생각이지만,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그 부르심은 하나님의 사랑에서 ...

유다서(51)

8.2. … 육체를 더럽히며, ...  육체를 더럽힙니다(defile the flesh[KJV], pollute their own bodies[NIV]). 앞에서 보았지요?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과 관계를 맺어 육체를 더럽혔습니다. 소돔과 고모라의 거주민들이 다른 신을 따라가며 섬기고 절하면서 육체를 더럽혔습니다. 이단들의 뉴스를 들으면 가끔 그런 뉴스까지 들립니다. 연약한 여인들을 성적 노리개로 삼는 것 말입니다. 사회에서 보호받아야 할 가장 약한 자들 중의 하나인 여인들에게 몹쓸 짓을 하는 것 말입니다. 이단 뿐만 아니라 쥐꼬리만한 권력을 쥐고 있는 자들도 그런 파렴치한 행동을 서슴치 않고 합니다. 요즘 말로 갑질한다고 하죠. 약자들을 그냥 두어도 모자랄 판에 갑질합니다.  불의한 자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줄을 알지 못하느냐? 미혹을 받지 말라. 음행하는 자나, 우상 숭배하는 자나, 간음하는 자나, 탐색하는 자나, 남색하는 자나, 도적이나, 탐욕을 부리는 자나, 술 취하는 자나, 모욕하는 자나, 속여 빼앗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하리라. (고전 6:9-10) 사도 바울이 고린도교회의 이런저런 문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쓴 편지입니다. 앞뒤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좋겠지만, 최소한 이 구절에 의하면, 음행(sexual immorality), 우상 숭배(idolatry), 간음(adultery), 탐색(male prostitution), 남색(homesexual offend), 도적(thievery), 탐욕(greed), 술취함(drunkenness), 모욕(slander), 속여 빼앗음(사기, swindle) 등은 사악한 것들(불의, wickedness)입니다. 모두 육체를 더럽히는 데 앞장서는 것들입니다. 이런 불의를 저지르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합니다. 사도 바울은 거짓 선생들의 이러한 미혹을 받지 말라고 경고합니다.  위에서 빌 마이어스(...

유다서(9)

1.4. “부르심을 받은 자, 곧 하나님 아버지 안에서 사랑을 얻고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지키심을 받은 자들에게 편지하노라.”  유다서 1절 하반절에서 유다는 자신의 편지를 받는 사람들을 밝힙니다. 부르심을 받은자? 누구로부터 부르심을 받았다는 말일까요? 그리고 그 부른 이는 무엇때문에 불렀을까요? 하나님께서 부르셨을 겁니다. 그리고 잘 모르겠지만, 하나님께서 뭔가 할 이야기가 있고 시키실 일이 있어서 부르셨을 겁니다. 그리고 부르심을 받은 자는 사랑을 얻은 자입니다. 내가 사랑을 주는 주체가 아닙니다. 나는 사랑을 얻는 입장(beloved)입니다. 어디에서 사랑을 얻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안에서(in God the Father)입니다. 저는 부르심을 받은 자라고 하면 저에게 제일 먼저 떠오르는 구절이 바로 그 유명한 로마서 8장 28절입니다.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사도 바울에 의하면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가 하나님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입니다. 이 로마서 8장 28절의 구절이 너무나 아름답게 들리지만, 좁은 저의 생각으로는 동시에 너무나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가 하나님의 뜻대로 부르심을 받는다는 말인데, 과연 제가 하나님을 사랑하는지가 걸림돌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도 마태복음 22장 37절에서 “네 마음(heart)을 다하고 목숨(soul)을 다하고 뜻(mind)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신명기 말씀을 인용하셨습니다. 너는 마음(heart)을 다하고 뜻(soul)을 다하고 힘(strength)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신 6:5)  다시 말해 너의 모든 것으로, 너의 모든 됨됨이로, 너의 모든 존재로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말씀이겠지요. 모든 존재는 커녕 일부분이라도 하나님을 사랑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가장 큰 계명임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