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거짓 선생들에 대한 예언된 멸망(14-16)
아담의 칠대 손 에녹이 이 사람들에 대하여도 예언하여 이르되,
“보라, 주께서 그 수만의 거룩한 자와 함께 임하셨나니, 이는 뭇 사람을 심판하사,
모든 경건하지 않은 자가 경건하지 않게 행한 모든 경건하지 않은 일과
또 경건하지 않은 죄인들이 주를 거슬러 한 모든 완악한 말로 말미암아 그들을 정죄하려 하심이라.” 하였느니라. (유 14-15)
14.1. 에녹서(The Book of Enoch)를 검색해 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군요. 에녹서는 구약 외경 중에서 분량이 가장 많은 책으로 108장입니다. 원문은 히브리어로 생각되지만 현존하는 것은 에티오피아어(제1에녹서)로 기록된 것이고, 소수의 단편이 희랍어와 라틴어로 쓰여져 있습니다.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① 1~36장은 《노아서》의 것이 단편적으로 개입되어 있고, ② 37~71장은 비유와 비교(BC 105~64년), ③ 72~82장은 천계(BC 110년경), ④ 83~90장은 환상, 그리고 ⑤ 91~104장은 묵시 등입니다.
God took Enoch, as in Genesis 5:24: "And Enoch walked with God, and he was no longer, for God had taken him" (JP), illustration from the 1728 Figures de la Bible; illustrated by Gerard Hoet
내용은 심판의 날의 묘사, 천사론, 천상ㆍ지상ㆍ지하를 돌아다니는 에녹의 여행기, 기상학ㆍ천문학적 해설, 메시아론, 대홍수의 예언, 아담에서 메시아의 도래에 이르는 모든 역사의 상징적 언어에 의한 개관 등입니다. 본서는 쿰란 공동체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는데, 쿰란 공동체의 저작은 아닙니다. 특히 37~71장은 <사람의 아들>상을 포함한 메시아론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메시아론과 비교되어 있는데, 이를 3세기의 그리스도 교도의 손으로 되돌리는 유력한 설이 있습니다. 이 인자사상은 신약성서 저자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그리고 의인 택함을 받은 자라는 용어도 본서에 먼저 나와 있는 사상이라고 하는군요. 초대교회에서는 《에녹서》가 자주 읽혀졌고, 교부들도 이 책을 상당히 애용하여 많이 인용하였습니다.
슬라브어 《에녹서》는 제2에녹서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원래 그리스어로 1~2세기에 기록된 별개의 문서입니다. 내용은 에티오피아어의 《에녹서》와 비슷하고, 저자는 이 문서를 알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집니다. 근래에는 제3에녹서가 연구되고 있습니다. 모두 묵시문학의 글이라고 하는군요.
에녹서는 다른 기독교 종파에서는 정경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에티오피아 정교화에서는 인정되며 영감에 의해 쓰인 성경으로 봅니다,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마카베우스 시절인 약 기원전 160년경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정경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니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가 없습니다. 그 문제는 신학자들에게 맡기고, 저는 성경으로 돌아가려고 합니다. 한때 저는 위경 또는 외경에 약간의 관심이 있었지만, 정경으로 확정된 성경을 공부하는 것만으로도 벅차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정경인 성경 66권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데, 외경이나 위경까지 알려고 하는 것이 일종의 사치라고 생각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