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유다서(104)


19.1.1. 이 사람들은 분열을 일으키는 자며 ... 

거짓 선생들은 분열을 일으킵니다. 일치단결해도 모자랄 판에 분열을 일삼고 부추킵니다. 

몸이 하나요 성령도 한 분이시니, 이와 같이 너희가 부르심의 한 소망 안에서 부르심을 받았느니라. 주도 한 분이시요, 믿음도 하나요, 세례도 하나요, 하나님도 한 분이시니, 곧 만유의 아버지시라. 만유 위에 계시고 만유를 통일하시고 만유 가운데 계시도다. (엡 4:4-6)

Russian icon of the Old Testament Trinity by Andrey Rubley, between 1408 and 1425

위의 구절에서 ‘하나(한, 통일 포함)’이라는 낱말이 몇 번이나 등장하는지 헤아려 보십시오. 이미 2,000여 년 전에 고린도에서는 분열이 있었습니다(고전 1:11-12; 3:4). 사도 바울이 그들을 보고 무엇이라고 말했습니까? 

너희 가운데 시기와 분쟁이 있으니, 어찌 육신에 속하여 사람을 따라 행함이 아니리요? (고전 3:3)

시기(jealousy)와 분쟁(quarreling)이 있다는 것 자체가 육신에 속한 것입니다. 우리는 어떻습니까? 육에 속해서 시기합니까? 분쟁을 일삼습니까? 저는 우리나라 기독교(개신교)의 교파를 모릅니다. 알고 싶은 마음도 별로 없습니다. 그러니 들어도 곧 잊어버립니다. 

라이프성경사전에 의하면 시기는 남이 잘 되는 것을 싫어하는 것, 샘하여 미워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기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부모의 편애, 사회적으로는 경쟁 의식이나 차별, 개인적으로는 실력이나 배경, 외모 등 열등 의식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인이 아벨을 죽인 것이나(창 4:5-6, 8), 사라가 잉태한 하갈을 학대한 것(창 16:5-6), 남편 야곱을 차지하기 위한 라헬과 레아의 경쟁(창 30:1), 요셉의 형들이 요셉을 미디안 상인에게 판 사건(창 37:19-20), 사울이 다윗을 죽이기 위해 혈안이 되었던 것(삼상 18:8-9, 29; 20:31), 신약 당시 제사장들이 예수님을 로마 군병에 넘겨 죽음에 이르게 한 것(마 27:18; 막 15:10; 요 11:47) 등은 모두 시기와 질투가 빚은 사건들입니다.

한편, 헬라어로 ‘젤로테스’는 ‘시기,’ ‘질투’라는 부정적 의미 외에도(행 5:17; 롬 13:13; 고후 12:20; 갈 5:20; 약 3:16) 긍정적 측면에서 ‘열심,’ ‘열정’이란 뜻도 갖고 있습니다. 이 경우 하나님을 사랑하는 열정이나 하나님의 성전을 향한 간절한 심령을 나타내기도 합니다(요 2:17; 롬 10:2).

결국 이 시기(envy) 때문에 예수께서 십자가를 지시게 되었습니다. 

Christ before Pilate, Mihály Munkácsy, 1881

이는 그[빌라도]가 대제사장들이 시기로 예수를 넘겨 준 줄 앎이러라. (막 15:10; 마 27:18)

내 마음 속 어딘가에 그런 시기와 분쟁이 있는지 돌아봅니다. 이웃이 잘되는 것을 보면 부러운 마음이 듭니다. 그걸 넘어서 시기하는 마음이 있는지요? 그 상태가 되면 분쟁은 오지 말라고 해도 쏜살같이 옵니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말이 괜히 생겼겠습니까? 

평온한 마음은 육신의 생명이나, 시기는 뼈를 썩게 하느니라. (잠 14:30)

시기하면 안색이 변하는 것은 물론이며, 뼈를 썩게 합니다. 시기(질투)를 다스릴 수 있는 방법은 평온한 마음(tranquil heart)입니다. 그리고 그 평온한 마음은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평안(요 14:27)으로부터 오는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 무슨 권면이나, 사랑의 무슨 위로나, 성령의 무슨 교제나, 긍휼이나, 자비가 있거든, 마음을 같이하여 같은 사랑을 가지고 뜻을 합하며 한마음을 품어,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각각 자기 일을 돌볼뿐더러 또한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나의 기쁨을 충만하게 하라. (빌 2:1-4)

마크 트웨인(Mark Twain)이 이런 우스개소리를 했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개와 고양이를 너무나 좋아해서 한 우리에 넣고 길렀답니다. 처음엔 개와 고양이가 서로 잡아먹을 듯이 행동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두 동물은 서로 잘 지내게 되었답니다. 그러자 이 사람은 내친 김에 다른 동물들(어떤 동물들인지 기억나지 않는군요)을 이 우리에 더 넣어 길렀습니다. 그랬더니 역시 아니나 다를까 처음에는 약간의 갈등이 있었지만, 곧 서로서로 잘 지내게 되었답니다. 그래서 이 사람이 이번에는 한 집에 감리교인, 장로교인, 침례교인, 루터파 교인, 오순절파 교인 등 여러 명을 살게 했습니다. 그들은 처음 하루 이틀 동안 잘 지냈습니다. 그러나… 일주일도 못되어 서로 싸우고 할퀴고 난리가 났답니다. 

혹시라도 내 마음에 시기심이 있으면 다음 구절을 생각해 봅니다.

그러나 너희 마음 속에 독한 시기와 다툼이 있으면 자랑하지 말라. 진리를 거슬러 거짓말하지 말라. 이러한 지혜는 위로부터 내려온 것이 아니요, 땅 위의 것이요 정욕의 것이요 귀신의 것이니, 시기와 다툼이 있는 곳에는 혼란과 모든 악한 일이 있음이라. 오직 위로부터 난 지혜는 첫째 성결하고 다음에 화평하고 관용하고 양순하며 긍휼과 선한 열매가 가득하고 편견과 거짓이 없나니, 화평하게 하는 자들은 화평으로 심어 의의 열매를 거두느니라. (약 3:14-18)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다서(10)

Miraculous catch of fish 1.5. 부르심을 받는다는 것, 누군가가 나를 불러준다는 것은 너무나도 기분 좋은 것입니다. 상상해 보십시오. 누군가가 따뜻한 음성으로 나의 이름을 부릅니다. 내가 고민하고 번민할 때, 어찌 할 바를 몰라 두 손 놓고 멍하니 있을 때, 무서워 발걸음을 뗄 수가 없을 때, 두려워서 무릎이 덜덜 떨릴 때, 간담이 다 녹아내릴 때, 번뇌로 내 가슴이 검은 숯덩이가 되어 정신이 아득할 때, 그 숯덩이가 다 타서 허연 재만 남았을 때, 이 세상에 나 홀로 남겨졌다고 생각될 때, 나같은 사람이 살아서 뭘 하겠느냐고 자포자기할 때, 그 어디를 바라보아도 구원의 손길은 다가오지 않을 때, 어디에 소망을 두어야 할 지 전혀 모를 때, 완전한 흑암 속에서 허우적거릴 때, 내 자신이 나의 존재를 부정할 때, 누군가가 나즈막한 소리로 나의 이름을 부릅니다. 그것도 다른 사람이 아닌 창조주, 가장 완벽하시고 온전하시고 완전하시며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직접 그 분의 존재 안에서 격려하시고, 등을 토닥거려 주시고, 얼싸안아 주신다는 것은 더할 나위없이 황홀한 일임에 분명합니다.  내가 하나님을 사랑하는 데 실패하고, 아니 하나님을 생각하지도 않지만, 더 나아가 하나님의 품을 떠나려고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결국 아버지를 떠난 둘째 아들(눅 15:11-32)처럼 실제로 떠나지만, 하나님께서는 나를 부르십니다. 나는 나의 존재를 부정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나의 존재를 인정하십니다. 매일 매순간 나는 하나님을 배반하고 떠나지만, 하나님께서는 나를 부르십니다. 왜 간섭하느냐고 원망 아닌 원망을 할 때도, 죄의 무게에 짓눌려서 “주여, 나를 떠나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눅 5:8).”라고 울먹거리며 말할 때도, 하나님은 나를 부르십니다. 나를 인정해 주십니다. 도저히 범접할 수 없는 그분께서 “괜찮다.”고 하시면서 나의 존재 자체를 인정해 주십니다. 좁은 생각이지만,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그 부르심은 하나님의 사랑에서 ...

유다서(51)

8.2. … 육체를 더럽히며, ...  육체를 더럽힙니다(defile the flesh[KJV], pollute their own bodies[NIV]). 앞에서 보았지요?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과 관계를 맺어 육체를 더럽혔습니다. 소돔과 고모라의 거주민들이 다른 신을 따라가며 섬기고 절하면서 육체를 더럽혔습니다. 이단들의 뉴스를 들으면 가끔 그런 뉴스까지 들립니다. 연약한 여인들을 성적 노리개로 삼는 것 말입니다. 사회에서 보호받아야 할 가장 약한 자들 중의 하나인 여인들에게 몹쓸 짓을 하는 것 말입니다. 이단 뿐만 아니라 쥐꼬리만한 권력을 쥐고 있는 자들도 그런 파렴치한 행동을 서슴치 않고 합니다. 요즘 말로 갑질한다고 하죠. 약자들을 그냥 두어도 모자랄 판에 갑질합니다.  불의한 자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줄을 알지 못하느냐? 미혹을 받지 말라. 음행하는 자나, 우상 숭배하는 자나, 간음하는 자나, 탐색하는 자나, 남색하는 자나, 도적이나, 탐욕을 부리는 자나, 술 취하는 자나, 모욕하는 자나, 속여 빼앗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하리라. (고전 6:9-10) 사도 바울이 고린도교회의 이런저런 문제에 대해 언급하면서 쓴 편지입니다. 앞뒤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좋겠지만, 최소한 이 구절에 의하면, 음행(sexual immorality), 우상 숭배(idolatry), 간음(adultery), 탐색(male prostitution), 남색(homesexual offend), 도적(thievery), 탐욕(greed), 술취함(drunkenness), 모욕(slander), 속여 빼앗음(사기, swindle) 등은 사악한 것들(불의, wickedness)입니다. 모두 육체를 더럽히는 데 앞장서는 것들입니다. 이런 불의를 저지르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합니다. 사도 바울은 거짓 선생들의 이러한 미혹을 받지 말라고 경고합니다.  위에서 빌 마이어스(...

유다서(9)

1.4. “부르심을 받은 자, 곧 하나님 아버지 안에서 사랑을 얻고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지키심을 받은 자들에게 편지하노라.”  유다서 1절 하반절에서 유다는 자신의 편지를 받는 사람들을 밝힙니다. 부르심을 받은자? 누구로부터 부르심을 받았다는 말일까요? 그리고 그 부른 이는 무엇때문에 불렀을까요? 하나님께서 부르셨을 겁니다. 그리고 잘 모르겠지만, 하나님께서 뭔가 할 이야기가 있고 시키실 일이 있어서 부르셨을 겁니다. 그리고 부르심을 받은 자는 사랑을 얻은 자입니다. 내가 사랑을 주는 주체가 아닙니다. 나는 사랑을 얻는 입장(beloved)입니다. 어디에서 사랑을 얻습니까? 하나님 아버지 안에서(in God the Father)입니다. 저는 부르심을 받은 자라고 하면 저에게 제일 먼저 떠오르는 구절이 바로 그 유명한 로마서 8장 28절입니다.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사도 바울에 의하면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가 하나님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입니다. 이 로마서 8장 28절의 구절이 너무나 아름답게 들리지만, 좁은 저의 생각으로는 동시에 너무나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가 하나님의 뜻대로 부르심을 받는다는 말인데, 과연 제가 하나님을 사랑하는지가 걸림돌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도 마태복음 22장 37절에서 “네 마음(heart)을 다하고 목숨(soul)을 다하고 뜻(mind)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신명기 말씀을 인용하셨습니다. 너는 마음(heart)을 다하고 뜻(soul)을 다하고 힘(strength)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신 6:5)  다시 말해 너의 모든 것으로, 너의 모든 됨됨이로, 너의 모든 존재로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말씀이겠지요. 모든 존재는 커녕 일부분이라도 하나님을 사랑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가장 큰 계명임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