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유다서(50)


B. 유다 시대의 거짓 선생들에 대한 묘사(8-16)
1. 비방하는 말(8-10)

그러한데 꿈꾸는 이 사람들도 그와 같이 육체를 더럽히며, 
권위를 업신여기며, 
영광을 비방하는도다. (유 8)

8.1. 우리 가운데 몰래 끼어든 자들이, 유다가 말한 똑같은 바로 그 방법으로 행한다는 것입니다. 어떤 방법들입니까? 믿지 않는 것(유 5), 지위를 지키지 않고 처소를 떠난 것(유 6), 그리고 음란하며 다른 육체를 따라 가는 것(유 7)입니다. 거짓 선생들이 꿈을 꾸며 그런 일들을 저지릅니다. 아시다시피 꿈(dream)은 잠을 자는 동안에 여러 가지 일을 보는 것을 말합니다. 

Jacob's dream of a ladder of angels, c. 1690, by Michael Willmann

라이프성경사전에 의하면 꿈은 어떤 바람(wish)이나 소망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하나님의 계시의 완성인 성경이 완성되기 전에 하나님께서 사용하셨던 계시의 한 방법이었습니다(창 20:3; 28:12; 37:5-11; 40:5; 단 2:4; 마 1:20). 즉, 제한된 지혜와 감각을 지닌 인간들에게 초월하신 하나님이 친히 당신의 뜻을 전하시려고 사용하신 초자연적인 역사 가운데 하나로서 일종의 이상(異像, vision)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서 꿈을 통해 하나님의 계시를 받은 자로는 야곱(창 28:12), 요셉(창 37:5-10), 솔로몬(왕상 3:3-15), 다니엘(단 7장), 예수님의 아버지 요셉(마 1:20-21), 동방박사들들(마 2:12), 고넬료(행 10:3-6), 베드로(행 10:10-16), 바울(행 16:9; 23:11; 27:23-24)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거짓 선지자들의 꿈 이야기에 귀기울이지 말고(렘 23:25-32), 허탄한(거짓된) 꿈을 꾸지 말라고 경고합니다(슥 10:2).

꿈에 하나님을 만났다고 하는 분도 있습니다. 신학교에 입학하고자 하거나 이미 입학해서 공부하고 있는 분들 중에도 그런 꿈을 꾸었다는 분들이 의외로 많다고 들었습니다. 꿈에 예수님이 나타나셔서 이렇게 저렇게 해라고 알려주셨다는 분도 있습니다. 한편으로 부럽습니다. 얼마나 하나님을 섬기고 예수님을 사랑하면 꿈에까지 나타나는지 부럽기도 합니다. 그런데 꿈도 꿈 나름입니다. 아, 오해하지 마십시오. 꿈에 하나님을 뵈었다든지 또는 예수님이 나타나셨다든지 그런 간증을 폄하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솔직히 저는 그런 분들을 또는 그런 꿈을 부러워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그렇게 꿈에라도 속 시원한(?) 응답을 받고 싶은 저의 마음일 수도 있습니다. 

어쨌거나, 개역개정과 새번역은 ‘꿈’이라는 낱말을 사용합니다만, 공동번역은 ‘제 정신을 잃고’라고 옮겼습니다. 영혼 또는 비정상적인 상상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일컫는 말입니다. 망상과 감각의 혼란을 일으킨다는 말입니다. 엉뚱한 것에 이끌리고 속은 이들의 마음은 진리인 하나님의 말씀을 제대로 생각하지 못하고 반응조차 하지 못합니다. 공동번역의 번역처럼 제 정신이 아니라는 말이지요. 그리고 KJV은 ‘아주 더럽고 추잡한 꿈을 꾸는 자들(filthy dreamers)’라고 옮깁니다. 이 꿈꾸는 자들, 즉 제 정신을 잃은 거짓 선생들, 즉 아주 더럽고 추잡한 꿈을 꾸는 자들이 하는 일이 무엇입니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유다서(23)

3.5. 모세와 불뱀… 요세푸스(Flavius Josephus)가 쓴 <유대고대사(The Antiquities of the Jews)>에 흥미로운 내용이 있습니다. 모세가 에디오피아인들과 싸운 경위의 일부분을 옮깁니다.  모세가 이집트의 왕궁에서 왕자로 있었을 때 에디오피아인들이 이집트를 침략해서 이집트인들의 재산을 약탈해 갔습니다. 이에 이집트인들은 모세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이집트의 서기관들은 모세의 용맹으로 적을 물리칠 수도 있고 그러다 보면 모세가 전사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기뻐했으나, 히브리인들의 서기관들은 장차 모세가 그들의 장군이 되면 이집트인들에게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고 기뻐했습니다. 모세는 적들이 그의 공격을 알아차리기 전에 군대를 거느리고 적들을 저지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수로가 아니라 육로로 행군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는 육로로 행군하면서 그의 지혜가 매우 뛰어남을 실증해 보여 주었습니다. 왜냐하면 뱀이 많았기 때문에 (이곳 뱀은 다른 지역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번식력이 뛰어나며 독성이 특히 강한 데다 보기에도 유달리 흉측해 보였습니다. 어떤 뱀은 눈에 띄지 않게 땅에 숨어 있다가 솟아 올라 공중을 날아 부지중에 사람을 덮쳐 해를 가하기도 했습니다). 육로로 통과하기가 어려운데, 모세는 군대가 해를 입지 않도록 무사하게 보호하는 멋진 계책을 창안해 냈기 때문입니다.  모세는 사초(sedge)로 방주 모양의 바구니를 만들고 그 속에 이베스(ibes)라는 새들을 담아 들고 갔습니다. 이 새는 뱀들에게는 최대의 천적인데, 이 새들이 접근하면 뱀들은 도망을 쳤습니다. 뱀들은 도망을 치다가 이베스에 의해 잡혀 먹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베스는 길들여진 동물이며 단지 뱀 종류에게만 해를 끼쳤습니다. 모세는 이런 뱀들이 서식하는 지역에 도착하자마자 이베스를 풀어 놓아 뱀들을 물리쳤고 군대가 그 지역을 통과할 때까지 이베스를 이용했습니다. 결국 모세는 이렇게 행군을 거듭해 에디오피아인...

유다서(40)

5.7.6. 예수님의 반응을 보실까요? “열 사람이 다 깨끗함을 받지 아니하였느냐? 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 이 이방인 외에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러 돌아온 자가 없느냐?” (눅 17:17-18)  분명히 예수님은 열 명을 다 고쳐주셨습니다. 열 명 모두 제사장에게 가던 길에 깨끗함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제사장보다 더 우월하신 예수님께 돌아와서 감사를 표한 사람은 한 사람밖에 없습니다. 감사가 이렇게 쉽지 않은 모양입니다. 열 명 중 아홉은 감사를 표하지 않습니다. 전 인구의 90 퍼센트가 감사를 표하지 않습니다. 너무 무리한 해석인가요? 아니면 나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들 중에 90 퍼센트에 대해 감사를 표하지 않습니다. 이건 그럴듯하게 보입니다. 최소한 저의 경우에는 말입니다. 하루의 생활 중에 이런 일 저런 일 등 수많은 일들이 일어납니다. 그 중 나는 과연 어느 정도의 비율로 감사를 표할까요? 물론 계량적으로 수치를 가늠하기가 어렵지만, 이 나병환자의 예에서처럼 10 퍼센트만이라도 하나님을 칭찬하면 될텐데 말입니다. 그 10 퍼센트가 쉽지 않음을 고백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그리고 예수님의 이 말씀에서처럼 감사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입니다. 더 쉬운 말로 하면 하나님을 칭찬하는 것입니다. 예수님도 어느 정도 아시는 것 같습니다. 전 인구의 10 퍼센트만이 감사를 표한다는 것을 말입니다. 그것도 유대인이 아닌 이방인이 말입니다. 예수님은 모든 나병환자를 다 고쳐주셨습니다. 나머지 나병환자들이 이방인, 즉 사마리아인이었는지 유대인이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마 유대인이었지 싶습니다. 그러니 “이 이방인 외에는…”이라고 말씀하셨겠지요. 비록 사마리아 땅을 거치지 않고 둘러서 가셨지만, 예수님께서는 모두 고쳐주셨습니다. “열 사람이 다 깨끗함을 받지 아니하였느냐?”라는 질문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들 모두 나병이 나았습니다. 그 사랑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그 은혜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예수님...

유다서(66)

11.3. 삯을 위하여 발람의 어그러진 길로 몰려 갔으며 ... 거짓 선생들은 삯, 그것도 불의의 삯을 위하여 발람(Balaam)의 어그러진 길로 몰려갔습니다. 짝이 되는 베드로 사도의 편지의 한 부분을 봅시다.  그들이 바른 길을 떠나 미혹되어, 브올의 아들 발람의 길을 따르는도다. 그는 불의의 삯을 사랑하다가, 자기의 불법으로 말미암아 책망을 받되, 말하지 못하는 나귀가 사람의 소리로 말하여 이 선지자의 미친 행동을 저지하였느니라. (벧후 2:15-16) 유다서 11절의 발람의 이야기로 갑니다. 민수기 22장에서 24장에 발람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자손이 모압(Moab) 평지에 진을 치고 요단 건너편, 곧 여리고(Jericho) 맞은 편에 도착했습니다. 당시 모압 왕은 십볼(Zippor)의 아들 발락(Balak)이었습니다. 그는 이스라엘 자손 때문에 번민하다가, 이스라엘 자손을 저주해 달라고 브올(Beor)의 아들 발람에게 사신을 보냅니다. 물론 복채를 주었지요. 하나님께서는 발람에게 모압 왕과 함께 하지도 말고 이스라엘 자손을 저주하지도 말라고 말씀하십니다. 사신들이 이 소식을 모압 왕에게 전하자, 그는 첫 번째 사신들보다 더 높은 고관들을 더 많이 보냅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발람에게 모압 왕에게 가되 하나님이 이르시는 말씀만 준행하라고 반쯤 허락하십니다. 발람이 아침에 일어나 나귀를 타고 길을 떠납니다.  그런데 나귀가 여호와의 사자가 칼을 빼어 손에 든 것을 보고 더 가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러자 발람이 나귀에게 채찍질합니다. 이 때 여호와께서 나귀의 입을 열어서 사람의 말을 하게 하십니다. 왜 때리느냐고 추궁합니다. 그 때에 여호와께서 발람의 눈을 밝혀서 여호와의 사자를 보게 하십니다. 여호와의 사자는 발람에게 발락의 고관들과 함께 가도록 허락하십니다. 발람이 도착하자 발락은 융숭한 대접을 합니다.  Balaam and the Ass. by Rembrand...